1. 개념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면서 에너지효율을 최적화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전력망.
ex)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분산형 전원(배터리), 실시간 전기요금제, 전력망의 자기치
2. 시대적 배경
1) 에너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2) 신재생 에너지의 확산 기반 마련
3) 전력의 품질과 신뢰도 향상
4) 전기 자동차 시대를 예비한 새로운 인프라가 필요
5) 새로운 성장 산업의 육성이 요구됨
3. 구축효과
1) 중저압 기반 배전망의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오게 됨
2) 직류(DC) 전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
4. 핵심제품
1) 스마트 미터 중심의 AMI
2) 수요 반응 시스템
3) 에너지 관리 시스템 (EMS)
→ 이들 제품을 기반으로 내수시장은 2020년에 연간 1.2조원, 2030년에 2.1조원 시장 형성 예상
세계시장은 2020년에 400억 달러, 2030년에 780억 달러
5. 유망업체
1) 배전분야에서 우수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2) 사업영역이 송전에서 배전까지 걸쳐 있어 향후 제품 Line-up 확장이 가능하며
3)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업체가 유망
→ LS산전, 일진전기 유망
6. 한국 스마트그리드 구축계획
'The Business > Smart Gr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I. 스마트 그리드 구축 RoadMap (0) | 2009.07.11 |
---|---|
V. 스마트 그리드용 제품 포트폴리오 (0) | 2009.07.11 |
IV.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 (0) | 2009.06.29 |
III. 스마트 그리드의 시대적 배경 (0) | 2009.06.28 |
II. 스마트 그리드 개념 (0) | 2009.06.28 |